누구나 한 번쯤 무릎 통증을 겪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보통 일상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갑자기 방향을 바꾸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혹은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주로 생긴다. 이럴 때 우리는 흔히 찜질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뜨거운 물수건 또는 얼음팩을 이용하여 아픈 부위에 올려놓는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증상에 따라 다르게 적용해야 한다는 사실 알고 있는가? 만약 급성이라면 차가운 수건을 대는 것이 좋고 만성일 경우 따뜻한 수건을 대주는 것이 좋다. 그렇다면 각각 어떻게 다른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저온 효과로 염증 및 붓기를 줄이기 위한 냉찜질
냉찜질은 냉찜질이 혈관을 수축시켜 염증반응을 감소시키는 원리이다. 따라서 손상 직후 1~2일 이내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너무 차가운 온도는 피부 동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30분 이내로 제한하고 붓기가 줄어들 때까지만 한다. 냉찜질은 아픈 부위에 얼음찜질하거나 마른 수건에 얼음을 싸서 할 수 있다. 또한 관절염이 없더라도 뼈가 뻣뻣해지거나 피곤하더라도 냉찜질은 관절염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류머티즘성 관절염이나 통풍 관절염에는 냉찜질이 효과적이다. 류머티즘성 관절염의 경우 관절 내 염증반응으로 뻣뻣함이 오는 경우가 많은데 관절 주변은 항상 붓고 뜨겁다. 통풍성 관절염은 요산이 소변으로 배출되지 않고 체내에 축적돼 염증과 붓기를 동시에 유발한다. 이럴 경우 뜨거운 압박으로 관절이 뜨거워지고 부기가 심해지면서 통증이 더 심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관절을 풀어주고 혈액순환을 좋게 해주는 온찜질
따뜻한 압박은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근육 회복을 돕습니다. 따라서 3일 이상 지났을 때 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주의할 점이 있다. 화상 위험이 있으므로 온도 조절에 주의해야 하며 30분 정도 짧게 하는 것이 좋다. 또 1일 2회 이하로 제한하되 류머티즘성 관절염이나 통풍성 관절염의 경우 따뜻한 압박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특히 관절에 물이 차거나 불그스름한 붓기가 생겨 부위에 열이 발생하는 경우 염증반응을 촉진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온찜질 등의 용품은 무릎이나 어깨 등 아픈 부위에 올려놓을 수 있어 관절염 환자에게 유용하다. 비록 파스가 관절의 염증을 근본적으로 치료하지는 않지만, 통증을 줄이고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괴로운 불면증...꿀잠자는 과학적인 방법 5가지 대 공개 (0) | 2022.11.11 |
---|---|
비타민D 부족하면 조기 사망 위험 높아진다 (0) | 2022.11.10 |
항암치료 중 인스턴트 음식 먹어도 될까?(항암치료기 식사원칙) (1) | 2022.11.08 |
[건강] "독감 크게 증가.. 예방접종 미접종자들 위험한 합병증 우려" (0) | 2022.11.07 |
나이 먹는 것도 서러운데 높은 곳이 더 무서워진다?? (0) | 2022.11.04 |
댓글